※ 제목을 누르시면 원문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 Ctrl+ F를 누르시면 화면 오른쪽 상단에 뜨는 검색 창에서 키워드 검색을 하실 수 있습니다.
(작업용!:20231103_2-외무성&자민당자료(all-완성본)에서 해제 확인 가능
1992년~1999년
생산시기 | 제목 | 해제 | 출처 | 키워드 | 한국 시민사회의 대응? |
1992년 7월 6일 | 1991년 8월14일 김학순 할머니(고인)가 자신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였음을 공표함에 따라 한반도 출신의 '이른바 종군 위안부' 문제에 대해 1991년 12월부터 일본정부가 실시한 관련 자료 조사의 결과를 발표한 내용. ‘종군 위안부’라는 용어가 사용되었고 이 용어는 2021년 4월까지 일본에서 일본군 ‘위안부’를 표현할 때 일본정부의 공식 표현이 되었다. 일본정부는 2021년 4월 각료회의결정(각의결정)에 따라 공식문서나 교과서에서 ‘일본군 위안부’, ‘종군위안부’라는 표현을 폐지하여 ‘위안부’로만 표기할 것을 결정했다. 일본군의 강제성을 희석시키는 조치였다. | 외무성 | 이른바 종군 위안부', 자료 조사, 결과 발표, 위안소 설치·증강, 위안소 경영·감독, 모집자에 대한 단속, 위생관리, 신분증 발급, 일본정부의 관여, 사과와 반성의 마음, 후속조치 약속 | 아시아연대회의 연대회의 링크 삽입 (연도.월.일.) | |
従軍慰安婦、資料調査、結果発表、慰安所築造・増強、慰安所経営・監督、募集に当たる者の取り締まり、衛生管理、身分証明書、政府の関与、お詫びと反省の気持ち | |||||
1993년 8월 4일 | 가토 담화에 이어서 1993년 8월 4일 발표된 ‘종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일본정부의 조사 결과와 담화이다. 소위 고노 담화가 일본정부의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관한 공식입장이다. 이후 일본 극우세력은 고노 담화를 무효화시키기 위한 작업을 벌여왔으나 현재(2023.10)까지 고노 담화는 일본정부의 공식 견해로 존재한다. 그러나 지금도 무효화하려는 여러가지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 외무성 | 종군 위안부 문제, 조사결과 발표, 위안소, 수많은 위안부, 일본군 당국의 요청, 구 일본군이 관여, 위안부의 모집, 군의 요청을 받은 업자, 본인들의 의사에 반하여 모집, 관헌 등이 직접 이에 가담, 다수 여성의 명예와 존엄, 심각하게 훼손, 사과와 반성, 후속 조치 약속 | ||
従軍慰安婦問題、調査結果の発表、慰安所、多くの慰安婦、日本軍当局の要請、旧日本軍の関与、慰安婦の募集、軍の要請を受けた業者、自らの意思に反して募集、官憲などが直接これに関与、多くの女性の名誉と尊厳、深刻に毀損、謝罪と反省、後続措置の約束 | |||||
1995년 6월 14일 | 1993년 8월 4일 고노담화 때 고노관방장관이 언급한 후속조치에 관해 1995년 6월 일본정부 이기라시 관방장관이 발표한 '여성을 위한 아시아 평화 우호 기금'에 관한 내용이다. | 외무성 | '여성을 위한 아시아 평화 우호 기금', 국민과 정부 협력 하에 실시, 민간으로부터 모금, 정부가 자금을 지원, 반성과 사과의 뜻, 종군 위안부의 역사자료, 역사의 교훈 | ||
「女性のためのアジア平和友好基金」、国民と政府の協力の下で実施、民間から募金、政府が資金を支援、反省と謝罪の意、従軍慰安婦の歴史資料、歴史の教訓 | |||||
1995년 7월 | 일본의 패전 50주년(1995년)을 맞이해 일본의 과거의 침략과 식민지지배에 대한 반성과 사죄의 일환으로 일본정부의 무라야마 토미이치(村山富市)총리(사회당 당수)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적극적으로 관여했다. 1995년 7월 '여성을 위한 아시아평화국민기금'이 출범했을 때의 무라야마 총리 인사말이다. | 외무성 | '여성을 위한 아시아평화국민기금', 무라야마 총리의 인사말, 깊은 사과, 국민적 보상과 의료・복지사업 지원, 역사자료 수집, 역사의 교훈 | ||
「女性のためのアジア平和国民基金」、村山首相の挨拶、深い謝罪、国民的補償と医療・福祉事業の支援、歴史資料の収集、歴史の教訓 | |||||
1997년 12월 16일 | 자민당 소속 중의원의원 다카이치 사나에가 제출 “위안부 문제의 교과서 게재에 관한 여러 질문”에 대한 답변서다. 극우성향으로 유명한 다카이치의원은 고노담화의 문제점, 위안부문제를 학생들이 배우는 사회과 교과서에 게재하는 일의 부당성을 주장했고 이에 대한 정부의 답변이다. | 외무성 | 중의원 의원 다카이치 사나에, 위안부 문제, 교과서 게재, 답변서, 군이나 관헌에 의한 위안부 강제 연행, 각종 증언집, 전 위안부에 대한 증언 청취 결과, 종합적으로 판단, 정부조사결과(고노 담화)의 내용 변경 | ||
衆議院議員高市早苗、慰安婦問題、教科書掲載、答弁書、軍や官憲による慰安婦の強制連行、各種証言集、元慰安婦に対する証言聴取結果、総合的に判断、政府調査結果(河野談話)の内容変更 | |||||
1998년 7월 15일 | 많은 네덜란드 여성들도 위안부 피해자가 되었기 때문에 일본정부는 아시아여성기금 사업을 네덜란드에서도 실시하기로 했다. 이와 관련해 하시코토 일본총리(당시)는 네덜란드의 콕 총리(당시)에게 사과와 반성, 그리고 지원사업을 설명하는 편지를 보냈다. 그 편지 내용이다 | 외무성 | 종군 위안부 문제, 도의적 책임, 국민적 보상, '여성을 위한 아시아평화국민기금', 하시모토 류타로, 사과와 반성의 표명, 사업실시위원회, 의료·복지 분야, 교류 400주년 | ||
従軍慰安婦問題、道義的責任、国民的補償、「女性のためのアジア平和国民基金」、 橋本龍太郎、謝罪と反省の表明、事業実施委員会、医療・福祉分野、交流400周年 |
2000년~2011년
시기 | 제목 | 해제 | 출처 | 키워드 |
2000년 1월 23일 | 2000년 8월 15일자 프랑크푸르터 룬트샤우지 게재 기고문에 대한 오카다 재독일 공사명 반론(2000년 10월 23일 프랑크푸르터 룬트샤우지에 게재) 2000년 8월 15일자 프랭크푸르터 룬트샤우지가 게재한 김만수 보훔대학 객원교수의 기고에 대해 일본의 재독일 공사가 제기한 반론이다. | 외무성 | 프랑크푸르트 룬트샤우지, 김만수 교수, 무라야마 내각총리대신 담화, 통절한 반성의 뜻, 진심 어린 사과, 김대중-오부치 회담, 북-일 국교정상화 협상, 고노 관방장관 담화, 여성의 명예와 존엄, 도의적 책임, 여성을 위한 아시아평화국민기금, 김대중 한국 대통령, 교류와 협력 | |
フランクフルター・ルントシャウ紙、キム・マンス教授、村山内閣総理大臣談話、痛切な反省の意、心からの謝罪、金大中・小渕会談、北朝鮮・日本国交正常化交渉、河野官房長官談話、女性の名誉と尊厳、道義的責任、「女性のためのアジア平和国民基金」、金大中韓国大統領、交流と協力。 | ||||
2001년 |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에 의한 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사과와 반성의 편지. 일본의 도의적 책임을 인정하고 '여성을 위한 아시아평화국민기금'을 통해 위안부 피해자들에 보상한다는 내용이다. | 외무성 | '여성을 위한 아시아평화국민기금', 국민적 보상, 사과와 반성, 도의적 책임, 과거사 직시 | |
「女性のためのアジア平和国民基金」、国民的補償、謝罪と反省、道義的責任、過去の歴史を直視 | ||||
2001년 7월 13일 | 네덜란드가 위안부 피해자들을 특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일본정부와 네덜란드는 위안소 또는 동등한 장소에서 성적 봉사를 강요받은 분들에게 의료·복지 분야의 재화·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을 실시했다. | 외무성 | オランダ、医療・福祉分野の財貨・サービス、補償事業、78名、サンフランシスコ平和条約、事業実施委員会、PICN(Project Implementation Committee in the Networks)、実施期間3年、オランダ戦争資料研究所 | |
2005년 1월 24일 | 아시아여성기금 해산 방침 발표에 대해서 - 야마자키 내각관방 부장관 기자 발표 | 무라야마 도미이치 아시아여성기금 이사장은 인도네시아 사업이 종료되는 2007년 3월으로 기금을 해산한다는 방침을 발표했다. 기금은 설립 이래 꾸준한 성과를 거두었고, 보상금을 받으신 전 위안부분들로부터는 감사의 뜻이 전해졌다. 기금은 앞으로도 해산할 때까지 다양한 사업을 실시하는 것과 동시에 해산 후의 과제에 대해서도 검토한다. 일본정부로서는, 계속 기금에 대해 협력을 실시해 나갈 생각이다. | 외무성 | 무라야마 도미이치, 인도네시아 사업, 기금을 해산, 해산 후의 과제 |
村山富市、インドネシア事業、基金を解散、解散後の課題 | ||||
2011년 12월 14일 | 무토 주한국대사 박석환 한국외교통상부 제1차관 항의(주한일대사관 앞 위안부의 비 건립에 대하여) | 2011년 12월 주한일본대사관 앞에 ‘소녀상’이 설치된 것에 대한 주한일본대사의 항의에 관한 내용이다. | 외무성 | 위안부의 비, 위안부 문제, 철거 |
慰安婦の碑、慰安婦問題、撤去 |
2012년
시기 | 제목 | 해제 | 출처 | 키워드 |
6월 29일 | 2012년 6월 27일, 서울시가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에 제9회 서울특별시 여성상 대상을 수여한다고 발표하였다. 수상 이유는 수요집회가 1,000회를 넘긴 점과 전쟁과여성인권박물관을 개관한 점 때문이다. 외무성은 이것이 국가의 문제가 아니라는 이유로 서울시에 항의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혔다. 미국 뉴욕주 나소 카운티의 아이젠하워 공원에 세워진 위안부 기념비에 대해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에 대한 질문에 대해, 한국계 미국인 단체, 나소 카운티 및 한국 광주시가 공동으로 위안부 문제와 관련된 기념비를 설치할 예정이지만, 이에 대한 대응은 앞으로 적절히 처리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노다 총리는 위안부 문제에 대해 인도적 관점에서 해결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말했지만, 위안부에 대한 청구권 문제는 1965년 한일 청구권 및 경제 협력 협정에 의해 완전하고 최종적으로 해결되었다는 일본 정부의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고 강조했다. 법적인 문제 이외의 부분에서 해결책을 모색할 수 있을지에 대한 논의가 있었지만, 현재 발표할 사항은 없다고 밝혔다. | 외무성 | 서울시,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제9회 서울특별시 여성상 대상, 수요집회, 전쟁과여성인권 박물관, 뉴욕주 나소 카운티 아이젠하워 공원, 한국계 미국인 단체, 나소 카운티 및 한국 광주시, 위안부 문제와 관련된 기념비, 노다 총리, 인도적 관점, 해결 방안을 모색하고 싶다, 한일 청구권 및 경제 협력 협정, 완전하고 최종적으로 해결됨. | |
ソウル市、韓国挺身隊問題対策協議会、第9回ソウル特別市女性賞大賞、水曜集会、戦争と女性の人権博物館。ニューヨーク州のナッソー郡アイゼンハワー公園、韓国系の米国人団体、ナッソー郡並びに韓国光州市、慰安婦問題に関連する碑。 野田総理、人道的見地、知恵を絞りたい、日韓請求権・経済協力協定、完全かつ最終的に決着済み。 | ||||
12월 28일 | 스가관방장관(당시)의 무라야마담화와 고노담화에 대한 인식을 기시다 외무장관(당시)이 기자에게 설명하는 내용이다. | 외무성 | 무라야마 담화, 고노 담화, 역대 내각의 입장, 정치 문제, 외교 문제화 | |
村山談話、河野談話、歴代内閣の立場、政治問題、外交問題化 |
2013년
시기 | 회의명 | 해제 | 출처 | 키워드 |
7월 31일 | 미국 글렌데일시에서 소녀 상의 제막식이 거행되었는데 이에 대한 일본정부 외무대변인의 견해다. | 외무성 | 글렌데일시, 위안부상, 제막식, 로스앤젤레스, 총영사, 기고 | |
グレンデール市、慰安婦の像、除幕式、ロサンゼルス、総領事、寄稿 |
2014년
시기 | 회의명 | 해제 | 출처 | 키워드 |
2월 12일 | 한국에서 ‘위안부의 날’ 제정을 위한 움직임을 알게 된 일본정부 외무장관의 입장이다. | 외무성 | 위안부의 날, 제정, 외교문제화, 정치문제화, 일본의 입장 | |
慰安婦の日、制定、外交問題化、政治問題化、我が国の立場 | ||||
3월 12일 | 한국 측이 위안부 자료를 세계기록유산으로 등록하겠다는 데 대한 일본정부의 입장과 고노 담화 검증이라는 일본정부 방침에 대한 질의응답이다. | 외무성 | 위안부 자료, 세계기록유산, 일본의 기본입장, 고노담화, 재검토, 검증, 의견조율, 반발 | |
慰安婦の資料、世界記憶遺産、我が国の基本的立場、河野談話、見直す、検証、意見のすりあわせ、反発 | ||||
4월 16일 | 한일국장급회의에 대한 기자의 질문에 대한 외무성 대변인의 답변이다. | 외무성 | 위안부 문제, 국장급 회의, 협의 | |
慰安婦問題、局長級会議、協議 | ||||
6월 26일 | 고노 담화에 관한 일본정부의 검증결과가 나와 이에 대한 질의응답이다. | 외무성 | 위안부 문제, 한일간의 협의, 고노 담화 작성, 가토 관방장관, 고노 관방장관, 군의 관여, 사죄와 반성의 뜻, 진상규명, 인도적 견지, 관련자료의 조사, 조율, 정부의 관여, 청취조사, 강제성, 후속조치, 자유의사, 금전적인 보상, 정대협, 유족회 | |
慰安婦問題、日韓間のやりとり、河野談話作成、加藤勝信、河野官房長官、軍の関与、謝罪と反省の意、真相究明、人道的見地、関連資料の調査、すりあわせ、政府の関与、聞き取り調査、強制性、後続措置、自由意志、金銭的な補償、挺対協、遺族会 | ||||
10월 14일 | 위안부문제에 대한 일본 정부의 지금까지의 시책 | 고노 담화를 발표했을 때 일본정부가 약속한 위안부 피해자들에 대한 후속조치는 아시아여성기금이었고 본 문서는 이에 관한 사업 결과 보고서다. 한국, 대만, 필리핀, 인도네시아, 네덜란드의 피해여성들에 대해 사업이 실시되었다. 사업의 내용과 각국의 사업의 차이에 대해 언급되었다. | 외무성 | 위안부문제,여성을 위한 아시아평화국민기금,아시아여성기금, 보상사업, 비, 한국, 대만, 위안부, 보상금 및 의료 복지 지원사업 ,인도네시아, 노인 사회 복지 추진 사업 , 복지시설, 네덜란드, 명예와 존엄 |
慰安婦問題、女性のためのアジア平和国民基金、アジア女性基金、償い事業、比、韓国、台湾、元慰安婦、償い金、医療・福祉支援事業、インドネシア、高齢者社会福祉推進事業、福祉施設、オランダ、名誉と尊厳 |
2015년
시기 | 제목 | 해제 | 출처 | 키워드 |
1월 13일 | 박근혜대통령(당시)이 한일정상회담을 하기 위해서는 일본 측 자세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했다. 이에 대한 기시다 외상(당시)의 소감이다. | 외무성 | 박근혜, 한일정상회담, 자세 변화, 대국적 관점, 미래지향, 위안부문제, 인권침해 | |
朴槿恵、日韓首脳会談、姿勢の変化、大局的観点、未来志向、慰安婦問題、人権侵害 | ||||
3월 11일 | 캐나다의 바나비시에 소녀상이 건설된다는 문제에 대해 일본 외무성이 기자회견을 한 내용이다. | 외무성 | 버나비시, 위안부상, 화성시, 자매도시, 총영사관, 위안부문제 | |
バーナビー市、慰安婦像、華城市、姉妹都市、総領事館、慰安婦問題 | ||||
11월 1일 | 한일 외교장관회담이 한중일 정상회의 때 열렸고 기시다 외무장관과 윤병세 한국 외교부장관이 위안부문제 등의 한일 간 현안을 논의했고 국장협의로 계속 논의할 것을 합의했다는 내용이다. | 외무성 | 한일 외교장관회담, 한중일 정상회의, 기시다 외무장관, 윤병세 한국 외교부장관, 위안부문제, 현안, 국장협의 | |
日韓外相会談、日中韓サミット、岸田外務大臣、尹炳世韓国外交部長官、慰安婦問題、懸案、局長協議 | ||||
12월 25일 | 2015년 12월 기시다 외무상이 방한하여 위안부문제를 조속히 타결할 노력을 계속하겠다는 기자회견 내용이다. | 외무성 | 기시다 외무상, 방한, 위안부문제, 조속한 타결 | |
岸田外務大臣、訪韓、慰安婦問題、早期の妥結 | ||||
12월 28일 | 2015년 12월 28일 맺어진 한일 위안부 합의에 관한 양국 외상의 발표 내용이다. | 외무성 | 위안부문제, 군의 관여, 여성의 명예와 존엄, 책임을 통감, 사과와 반성의 마음, 일본정부의 예산, 마음의 상처 치유, 재단, 최종적이고 불가역적으로 해결, 소녀상, 적절히 해결 | |
慰安婦問題、軍の関与、女性の名誉と尊厳、責任を痛感、おわびと反省の気持ち、日本政府の予算、心の傷の癒やし、財団、最終的かつ不可逆的に解決、少女像、適切に解決 | ||||
12월 28일 | 2016년 2월 16일 제네바에서 열린 여자차별철폐조약 제7회 및 제8차 정부보고심사에 대해 일본의 스기야마 외무심의관이 특히 위안부문제 심사에 관해 반박한 내용. 스기야마 심의관이 강제연행, 위안부 20만명설, 성노예 등을 반박했다. 기타 일본정부가 해온 위안부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을 소개했다. | 외무성 | 한일정상전화회담, 아베 신조, 박근혜, 사과와 반성의 마음, 한일청구권 및 경제협력협정, 최종적이고 완전하게 해결됨, 위안부문제, 최종적이고 불가역적으로 해결, 최종합의 정신, 한일관계 전진 | |
日韓首脳電話会談、安倍総理、朴槿恵韓国大統領、おわびと反省の気持ち、日韓請求権・経済協力協定、最終的かつ完全に解決済み、慰安婦問題、最終的かつ不可逆的に解決、最終合意の精神、日韓関係を前進 |
2016년
시기 | 제목 | 해제 | 출처 | 키워드 |
불명 | 외무성 | 한일 외교장관 회담, 위안부 문제 최종 해결, 10억 엔 지원, 소녀상 문제 협의, 국제사회 비난 자제 | ||
日韓外相会談、慰安婦問題最終解決、 10億円支援、 少女像問題協議、国際社会非難自制 | ||||
2월 16일 | 질의응답 부분에서의 스기야마 외무심의관 발언 개요다. | 외무성 | 고문방지위원회, 총괄소견, 성노예, 시정조치, 합의재검토, 권고, 법적으로는 해결이 완료, 아시아여성기금, 합의, 최종적이고 불가역적으로 해결, 역행, 일방적인 권고 | |
(拷問禁止委員会、総括所見、性奴隷、是正処置、合意を見直す、勧告、法的には解決済み、アジア女性基金、合意、最終的かつ不可逆的に解決、逆行、一方的な勧告) | ||||
5월 12일 | 2016.05.12. 유엔의 고문금지위원회가 2015.12.28.의 한일위안부합의가 불충분하다고 일본정부에게 권고를 내린데 대한 일본정부의 반론이다. | 외무성 | 고문방지위원회, 총괄소견, 성노예, 시정조치, 합의재검토, 권고, 법적으로는 해결이 완료, 아시아여성기금, 합의, 최종적이고 불가역적으로 해결, 역행, 일방적인 권고 | |
拷問禁止委員会、総括所見、性奴隷、是正処置、合意を見直す、勧告、法的には解決済み、アジア女性基金、合意、最終的かつ不可逆的に解決、逆行、一方的な勧告 | ||||
6월 1일 |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위안부 관련 자료등록을 신청한다는 한국, 중국을 비롯한 여러나라의 움직임에 대해 일본정부는 어떻게 대처하느냐는 기자들의 질문이다. | 외무성 |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위안부에 관한 자료등록신청, 위안부문제, 한일정부간 합의, 중국 외교부 | |
ユネスコ、世界記憶遺産、慰安婦に関する資料の登録申請、慰安婦問題、日韓の政府間の合意、中国外務省 | ||||
6월 2일 | 생략??? | 외무성 | 한일 위안부 합의, 10억 엔 지원 소녀상 문제,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제도 투명성 및 공정성 개선 | |
日韓慰安婦合意、10億円拠出 少女像問題、ユネスコ世界記憶遺産登録、制度の透明性と公平性の改善 | ||||
6월 8일 | 가와무라 외무 대변인 회견 기록 | 대외 홍보를 위한 재팬하우스의 역할 등에 대한 기자들에 질문에 대한 답변 | 외무성 | 재팬하우스, 로스앤젤레스, 런던, 상파울루, 일본의 올바른 모습, 일본의 매력, 지일파, 친일파, 종군위안부, 난징대학살, 대외홍보 |
ジャパン・ハウス、ロサンジェルス、ロンドン、サンパウロ、日本の正しい姿、日本の魅力、知日派、親日派、従軍慰安婦、南京大虐殺、対外発信 |
2017년
시기 | 제목 | 해제 | 출처 | 키워드 |
1월 6일 | 생략?? | 외무성 | 아베 신조, 조 바이든, 전화통화, 위안부문제, 한일합의, 역행 | |
安倍晋三、バイデン、電話会談、慰安婦問題、日韓合意、逆行 | ||||
1월 17일 | 2016년 말 부산의 일본영사관 앞에 소녀상이 설치되었다. 이것으로 나가미네 주한 일본대사가 일본으로 귀국했는데 이에 대한 기자들의 질문이다. | 외무성 | 위안부상, 나가미네 야스마사, 귀임, 부산총영사관, 소녀상 철거, 한일합의, 위안부문제, 최종적・불가역적으로 해결, 빈조약, 다케시마. | |
(慰安婦像、長嶺安政 、帰任、釜山総領事館、少女像の撤去、日韓合意、慰安婦問題、最終的・不可逆的に解決、ウィーン条約、竹島) | ||||
1월 25일 | 부산 일본 총영사관 앞에 설치된 위안부상에 관한 가와무라 전 외무대변인의 재팬타임스지 기고문이다. 한일위안부 합의는 바이든 미부통령도 지지하고 있으며 이 합의는 한미일 안보체제의 기초라는 내용이다. | 외무성 | 부산, 위안부상 설치, 재팬타임스, 위안부합의, 유감, 조 바이든, 한일합의, 한일관계, 미래지향, 안보협력 | |
釜山、慰安婦像設置、ジャパンタイムズ、慰安婦合意、遺憾、バイデン、日韓合意、日韓関係、未来志向、安全保障協力 | ||||
2월 3일 | 생략??? | 외무성 | 월스트리트저널, 아시아 안보, 위안부문제, 역사적 합의, 재단, 북한, 핵실험 및 탄도미사일 발사, 합의이행, 책무 | |
ウォール・ストリート・ジャーナル、アジアの安全保障、慰安婦問題、歴史的な合意、財団、北朝鮮、核実験や弾道ミサイル発射、合意の履行、責務 | ||||
3월 16일 | 생략?? | 외무성 | 쓰지모토 키요미, 답변서, 강제성의 정의, 군이나 관헌에 의한 강제연행, 고노 담화, 각의결정, 역대 내각이 계승 | |
辻元清美、答弁書、強制性の定義、軍や官憲による強制連行、河野談話、閣議決定、歴代の内閣が継承 | ||||
4월 3일 | 생략??? | 외무성 | 키워드 없음 | |
4월 26일 | 2017년 4월 26일 아베총리가 미국 하원 중요멤버에게 말한 내용. 자신은 위안부 피해자들에 미안한 마음을 갖고 있고 21세기는 인권문제에 있어 보다 나은 세기로 만들고 싶다는 내용이다. | 외무성 | 아베 신조, 미국 연방의회의원, 워싱턴, 낸시 펠로시, 위안부문제, 진심으로 동정, 인권침해. | |
安倍晋三、米国連邦議会議員、ワシントン、ナンシー・ペローシ、慰安婦問題、心から同情、人権侵害 | ||||
7월 11일 | 한국의 여성가족상이 한일 합의 재협의 의향을 밝혔고 위안부문제의 유네스코 기록유산 등재를 위해 한국 정부가 위안부박물관을 설립할 것이라고 한 것에 대한 기시다 외상의 기자회견 내용이다. | 외무성 | 한국 여성가족부 장관, 한일합의, 재협의, 유네스코기록유산, 등재, 위안부박물관 | |
韓国の女性家族相、日韓合意、再協議、ユネスコ記憶遺産、登録、慰安婦博物館 | ||||
7월 30일 | 미국 하원에서 위안부 결의가 통과될 공산이 높은 상황에서 외무성의 사무차관이 가진 기자회견이다. | 외무성 | 종군위안부, 미국 하원 결의 | |
従軍慰安婦、米国下院決議 | ||||
12월 27일 | 2017년 12월 27일, 한국 외교부 장관 직속의 '위안부 합의 검토 태스크포스'가 2015년 12월 28일의 한일 위안부 합의에 대한 검토 결과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글은, 한국 정부가 보고서에 근거하여 이미 실시되고 있는 합의를 변경하려고 한다면 한일 관계가 통제 불능이 된다고 경고하는 내용이다. | 외무성 | 위안부합의검토 태스크포스, 검토 결과 보고서, 통제불능 | |
慰安婦合意検討タスクフォース、検討結果報告書、統制不能 |
2018년
시기 | 제목 | 해제 | 출처 | 키워드 |
2월 23일 | 2018년 12월 22일 제네바에서 열린 여자차별철폐위원회 69회기에서 대한국심사가 진행되었다. 일본 측은 2015년 12월의 위안부문제에 괸한 한일합의가 최종적이고 불가역적인 해결이었음을 강조하고 이 합의는 국가와 국가의 약속이므로 정권이 바뀌어도 지켜야 한다 등의 의견을 주장했다. | 외무성 | 여성차별철폐위원회, 대한국심사, 위안부문제, 한일합의, 최종적이고 불가역적인 해결, 국가와 국가의 약속, 화해・치유재단, 성노예 | |
女子差別撤廃委員会、対韓国審査、慰安婦問題、日韓合意、最終的かつ不可逆的な解決、国と国の約束、和解・癒やし財団、性奴隷 | ||||
2월 23일 | 생략 | 생략 | 키워드 없음 | |
2월 27일 | 제37차 인권이사회 고위급 부문 - 호리이 마나부 외무장관 정무관의 성명 | 2018년 2월 27일 실시된 제37차 유엔 인권이사회 고위급 부문에서 일본의 호리이 마나부 외무장관 정무관이 위안부 문제에 관해 설명한 내용. 2015년 12월의 한일합의에 의해 위안부문제는 최종적이고 불가역적으로 해결되었음을 주장하고 성노예라는 말은 사실과 어긋난다 등을 주장. | 인권이사회 고위급 세그먼트, 한일합의, 국가와 국가의 약속, 여성차별철폐위원회, 성노예, 강제연행, 사실관계 오류 | |
人権理事会ハイレベルセグメント、日韓合意、国と国との約束、女子差別撤廃委員会、性奴隷、強制連行、事実関係の誤り) | ||||
6월 8일 | 캘리포니아주 글렌데일시에 설치된 위안부상에 대해 현지 체류 일본인 등이 원고가 되어서 글렌데일시를 상대로 시작한 소송에 대한 내용. 연방 법원과 캘리포니아 법원의 재판 두 가지가 진행되고 있다. | 글렌데일시, 위안부상 소송, 체류일본인, 연방법원, 캘리포니아주 법원, 연방대법원, 상고, 의견서 | ||
グレンデール市、慰安婦像訴訟、在留邦人、連邦裁判所、カリフォルニア州裁判所、連邦最高裁判所、上告、意見書) | ||||
6월 19일 | 생략 | 생략 | 키워드 없음 | |
6월 20일 | 여성과 함께하는 평화(Action with Women and Peace) 이니셔티브, 여성평화안보분야, 한일합의, 한일파트너십선언 20주년, 여성가족부(「女性と共にする平和(Action with Women and Peace)」イニシアティブ、女性平和安全保障分野、日韓合意、日韓パートナーシップ宣言20周年、女性家族省) | 여성과 함께하는 평화(Action with Women and Peace) 이니셔티브, 여성평화안보분야, 한일합의, 한일파트너십선언 20주년, 여성가족부 | ||
女性と共にする平和(Action with Women and Peace)イニシアティブ、女性平和安全保障分野、日韓合意、日韓パートナーシップ宣言20周年、女性家族省) | ||||
8월 2일 | 생략 | 생략 | ||
8월 31일 | 생략 | 유엔인종차별철폐위원회, 대일심사총괄소견, 위안부문제, 권고, 유엔개혁, 한일합의 | ||
国連人種差別撤廃委員会、対日審査総括所見、慰安婦問題、勧告、国連の改革、日韓合意 | ||||
10월 30일 | 생략 | 생략 | 키워드 없음 | |
11월 20일 | 화해・치유재단이 해산된다고 한국 측이 보도했다. 이에 관해 고노 외상에 대한 기자들의 질문이 있었다 | 위안부문제, 재단 해산, 한일 합의 | ||
慰安婦問題、財団の解散、日韓合意 |
2019년
시기 | 제목 | 해제 | 출처 | 키워드 |
2월 12일 | 문희상 국회의장이 일왕이 전쟁법죄 주범의 아들이라고 하면서 일왕에 대해 위안부문제에 관한 사죄를 요구했다. 기자들이 이 문제와 관련해 고노 외상에 질문을 했다. | 외무성 | 위안부문제, 한국국회의장, 전쟁범죄, 주범의 아들, 무례, 한일합의, 재협상 | |
慰安婦問題、韓国国会議長、戦争犯罪、主犯の息子、無礼、日韓合意、再交渉 | ||||
2월 22일 | 생략 | 생략 | 외무성 | 생략 |
생략 | ||||
4월 26일 | 국제사회에서의 위안부 문제 취급 제40차 인권이사회 고위급 세그먼트 | 2019년 2월 26일 실시된 제40회 유엔 인권이사회 고위급 세그먼트에서의 쓰지 기요토 외상 정무관의 성명이다. 위안부 문제에 대해 일본은 책임을 인정하고 적절히 대처해 왔다. 성노예라는 표현이나 한일합의가 불충분하다는 의견은 수용할 수 없다는 일본정부 반박이다. | 외무성 | 국제사회, 위안부 문제, 인권이사회 고위급 세그먼트, 최종적이고 불가역적인 해결, 화해·치유재단, 해산 방침, 한일 합의, 부정확한 이해, 강제실종위원회, 대일심사총괄소견, 사실오인, 오해와 편견, 사실조사, 강제연행, 일방적 권고, 개선, 인종차별철폐조약, 아시아여성기금, 성노예 |
国際社会、慰安婦問題、人権理事会ハイレベルセグメント、最終的かつ不可逆的な解決、和解・癒やし財団、解散方針、日韓合意、不正確な理解、強制失踪委員会、対日審査総括所見、事実誤認、誤解と偏見、事実調査、強制連行、一方的な勧告、改善、人種差別撤廃条約、アジア女性基金、性奴隷 | ||||
4월 26일 | 생략 | 생략 | 외무성 | 생략 |
생략 | ||||
5월 21일 | 2019년 5월 21일, 일본 정부는 한국 정부에 일본 정부 입장을 전달했다. 즉 2016년 12월 28일 전 위안부 등이 일본 정부를 상대로 한국 서울중앙지방재판소에 제기한 소송은 국제법상 주권면제 원칙에 따라 일본 정부가 한국의 재판권에 복종하는 것은 인정되지 않으며, 본건 소송은 각하되어야 한다는 취지를 전달했다. | 외무성 | 전 위안부, 국내소송, 한국서울중앙지방법원, 국제법, 주권면제원칙, 완전하고 최종적으로 해결됨, 한일합의, 최종적이고 불가역적인 해결 | |
元慰安婦、韓国国内の訴訟、韓国ソウル中央地方裁判所、国際法、主権免除の原則、完全かつ最終的に解決済み、日韓合意、最終的かつ不可逆的な解決 | ||||
11월 13일 | 오타카 외무 대변인 회견 기록 위안부문제(손해배상청구소송) | 서울 중앙지법에서 전 위안부분 등이 일본 정부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 소송의 제1차 구두변론이 시작된 것에 대한 외무대변인과 기자들의 질의응답. 일본 정부는 주권 면제를 주장하고 재판에 출석하지 않을 방침이고 재판결과를 주시한다는 내용이다. | 외무성 | 위안부문제, 손해배상청구소송, 구두변론, 한국의 재판권, 각하, 한일청구권협정, 완전하고 최종적으로 해결됨, 한일합의, 최종적이고 불가역적인 해결 |
慰安婦問題、損害賠償請求訴訟、口頭弁論、韓国の裁判権、却下、日韓請求権協定、完全かつ最終的に解決済み、日韓合意、最終的かつ不可逆な解決 |
2020년
시기 | 제목 | 해제 | 출처 | 키워드 |
5월 19일 | 모테기 외무장관 회견 기록. | 한국 내에서 위안부 피해자 지원 단체(정의연)를 비난하는 보도가 나온 문제에 대해 모테기 일본 외상과 기자들의 질의응답. | 외무상 | 모테기 도시미츠, 위안부 피해자 지원단체, 이용수, 한일합의 |
茂木敏充、慰安婦問題、慰安婦の被害者支援団体、李容洙、日韓合意 | ||||
10월 6일 | 외무상 | 일독 외무장관, 화상회담, 베를린시, 위안부상, 철거요청, 민간단체, 압력 | ||
日独外相テレビ会談、ベルリン市、慰安婦像、撤去、要請、民間団体、圧力 | ||||
12월 2일 | 외무상 | 베를린의 위안부상, 미테구의회 결의, 영속적인 설치, 동의 가결, 동상 철거 | ||
ベルリンの慰安婦像、ミッテ区議会決議、永続的な設置、動議可決、像の撤去 | ||||
12월 4일 | 외무상 | 생략 | ||
생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