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과여성인권박물관 건립 추진연혁

2012
01.26.

건물 리모델링 공사 착공식


2011 
08.

성미산 자락의 2층 주택 매입 (서울시 마포구 성산동 39-13) 건축 설계 및 시공, 자료수집, 모금 활동 전개

02.
서대문독립공원 부지를 보류하고 기존의 건물을 매입해서 리모델링하기로 결의,
독립운동의 성지에 ‘위안부’ 박물관을 세울 수 없다며 광복회와 순국선열유족회 등 독립운동단체들의 공개적인 반대
더불어 서울시의 미온적인 태도로 인해 새로운 부지를 물색하기 시작

2009
03.11. 
~03.15.

서울메트로미술관 내 <전쟁과여성인권 국제전>

03.08.
전쟁과여성인권박물관 착공식 <희망의 터 다지기>  
02.28.

전쟁과여성인권박물관 건립기금 마련을 위한 <이정미 콘서트>(일본 동경)

02.07.
전쟁과 여성인권박물관 일본 건설위원회 발족 집회  

2008
11.03.

광복회 박물관 건축허가 철회를 위한 기자회견에 관한 정대협 입장 기자회견

10.24.
~10.27.
해외 박물관 네트워크 활동(중국 상해, 무한)
10.17.

전쟁과여성인권박물관 건립을 위한 일본 동경 학습회  

10.16.박물관 사업실시계획 인가 통보 및 인가증(건축허가) 교부
08.16.호주 시드니에서 일본군'위안부' 할머니와 함께하는 호주친구들 주최 "박물관 후원의 밤" 개최
06.30. ~07.04.
해외 박물관 네트워크 활동(독일)
06.21.
전쟁과여성인권박물관 건립기금 마련을 위한 <이정미 콘서트, 이어지는 노래, 이어지는 춤, 이어지는 삶>(일본 오사카)
04.28.
문화재청, 현상변경심의 관련 신축 재허가(2008년 8월 15일에서 2011년 8월 15일까지로 신축허가 연장)
03.31.
박물관 홍보대사(농구선수 전주원) 위촉
04.07.
~04.09.

해외 박물관 네트워크 활동(대만)
03.28. ~03.30.
해외 박물관 네트워크 활동(베트남)

2007
08.26. 

나의 마음은 지지 않았다' 상영회 참석 및 박물관 홍보 활동(일본 동경)

04.27.
~ 04.30.
박물관 건립 모금을 위한 오사카 집회
02.09.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20개 회원단체장 명의로 여성가족부에 박물관 건립 예산 지원 요청

01.24.
<박물관 2007 시민모금 캠페인> 발대식 
01.12.
남산공원관리사업소에 사업시행 1년 연장 요청

2006
11.
국회 여성가족위원회 예결산소위원회 개최, 박물관 예산논의, 2007년 예산에 올림
10.19.
전쟁과 여성인권박물관 부지 확정 및 건립 설명회 (국가인권위원회 배움터)
08.18.
소위원회 2차 회의 심의 통과(최종 허가)
07.18.
서울시도시공원위원회 심의 통과
06.12.
서울시 도시공원위원회 공원조성계획변경심의를 받기 위해 남산공원관리사업소에 심의안건 제출
04.14.
문화재청 사적과 현상변경심의위원회에서 전쟁 여성인권박물관 건립 허가
03.08.
서대문독립공원 매점 부지에 박물관을 건립하는 문제와 관련 현상변경 허가신청서 서대문구청에 제출

2005
10.25.
서대문독립공원 매점 부지에 박물관 건립하는 것으로 서울시와 합의
이명주 공동건립추진위원장(명지대학교 건축학과), 김희옥 공동건립추진위원장(에이텍종합건축사사무소 소장) 건축설계 진행 
10.
서울시, 서대문독립공원 주차장 자리를 박물관 부지로 추진하는 문제 본격 논의
08.
서울시에 박물관 부지 기부 요청
06.

한국여자프로농구 경기에서 박물관 건립기금 마련을 위한 캠페인 진행

05.27.
국회 여성위원회 간담회
01.

박물관 부지 마련 활동 시작

(서울시 내 공원부지, 서울시 및 중앙정부 소유 건물 중 박물관으로 리모델링 가능한 건물 탐색)


2004
12.27.

제1차 공동건립추진위원장단 회의(박물관 부지마련 대책 본격 논의시작)

12.16.
건립위원회 발족식 개최(공동건립위원장단, 공동건립추진위원장단 추대)
홍보인쇄물․영상물 제작․공식 모금활동 시작
10.22.

국회 통일외교통상위원회의 외교통상위원회 국정감사에 길원옥할머니가 증인으로 출석통일외교통상위원회 소속 국회의원 전원 만장일치로 일본군‘위안부’ 피해자의 명예와 인권회복을 위한 역사관 건립을 위한 결의안 채택, 국회 본회에 상정, 결의안 채택


2003
12.18.

'일본군'위안부'피해자를 진정으로 추모하는 일은 그들의 고통을 잊지 않고, 다시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교육하고 활동하는 것'이라는 취지 아래 돌아가신 할머니들을 위한 추모회 및 전쟁과여성인권박물관 건립을 위한 점화식

(일본군'위안부'피해자 길원옥, 김분선, 김은례, 백넙데기, 신현순, 이금순, 이용수, 장점돌, 하상숙, 최갑순, 박두리, 황순이, 김상희, 이순덕, 이옥금, 한도순의 박물관 주춧돌기금 후원)


1999
02.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사무실(서대문구 충정로 소재) 내 전시 및 교육을 위한 교육관 개관


1994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내 '여성과 전쟁' 사료관 건립준비위원회 발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