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사관 3
연대로 희망을 만들다
일본군’위안부’문제 해결 운동은 생존자 지원활동과 함께 과거사 청산 및 평화운동으로 확산되어 나갔고, 한국과 아시아를 넘어 여성폭력 중단을 위한 연대행동으로 발전되어 나갔다.
생존자 지원활동
1991년 김학순의 공개증언 후 한국정부에는 239명의 일본군'위안부'피해자가 등록되었다. 긴 세월 침묵 속에 있던 피해자들의 생활조건은 매우 열악했고 이에 따라 정대협과 국내 시민사회단체는 범국민적 모금을 전개해 생활 안정금을 지원했다. 1993년에는 '일제 하 '일본군'위안부에 대한 생활안정지원법(이후개정)'을 제정했으며 생존자들과 지역사회와의 연계, 각계의 후원을 통해 지원체계를 확대했다. 이밖에도 정서적 치료사업과 쉼터 '평화의 우리집' 운영 등을 통해 생존자 지원활동을 이어나가고 있다.

생존자 지원활동
1991년 김학순의 공개증언 후 한국정부에는 239명의 일본군'위안부'피해자가 등록되었다. 긴 세월 침묵 속에 있던 피해자들의 생활조건은 매우 열악했고 이에 따라 정대협과 국내 시민사회단체는 범국민적 모금을 전개해 생활 안정금을 지원했다. 1993년에는 '일제 하 '일본군'위안부에 대한 생활안정지원법(이후개정)'을 제정했으며 생존자들과 지역사회와의 연계, 각계의 후원을 통해 지원체계를 확대했다. 이밖에도 정서적 치료사업과 쉼터 '평화의 우리집' 운영 등을 통해 생존자 지원활동을 이어나가고 있다.

생존자 지원활동
1991년 김학순의 공개증언 후 한국정부에는 239명의 일본군'위안부'피해자가 등록되었다. 긴 세월 침묵 속에 있던 피해자들의 생활조건은 매우 열악했고 이에 따라 정대협과 국내 시민사회단체는 범국민적 모금을 전개해 생활 안정금을 지원했다. 1993년에는 '일제 하 '일본군'위안부에 대한 생활안정지원법(이후개정)'을 제정했으며 생존자들과 지역사회와의 연계, 각계의 후원을 통해 지원체계를 확대했다. 이밖에도 정서적 치료사업과 쉼터 '평화의 우리집' 운영 등을 통해 생존자 지원활동을 이어나가고 있다.
생존자 지원활동
1991년 김학순의 공개증언 후 한국정부에는 239명의 일본군'위안부'피해자가 등록되었다. 긴 세월 침묵 속에 있던 피해자들의 생활조건은 매우 열악했고 이에 따라 정대협과 국내 시민사회단체는 범국민적 모금을 전개해 생활 안정금을 지원했다. 1993년에는 '일제 하 '일본군'위안부에 대한 생활안정지원법(이후개정)'을 제정했으며 생존자들과 지역사회와의 연계, 각계의 후원을 통해 지원체계를 확대했다. 이밖에도 정서적 치료사업과 쉼터 '평화의 우리집' 운영 등을 통해 생존자 지원활동을 이어나가고 있다.

전쟁과여성인권박물관 건립
'우리와 같은 피해자가 다시는 없어야한다'는 피해자들의 뜻을 이어받아 정대협은 '교육관'과 '전쟁과여성인권센터'를 통해 연구.기록.교육 활동을 진행해왔고, 10994년 '사료관 건립준비 위원회'의 발족에 이어 2004년 '전쟁과여성인권박물관 건립위원회'를 결정하여 박물관 건립 활동을 본격화했다. 약 9년에 걸쳐 수많은 시민들과 각계의 참여로 희망의 터를 다진 후 2012년 5월 5일 박물관 개관에 이르렀다.

국제기구의 권고
국제기구의 권고
1992년 UN 인권위원회에 최초로 일본군'위안부'문제가 제기됨에 따라 1996년과 1998년 두 차례에 걸쳐 일본정부에 법적 책임 이행을 촉구하는 보고서가 채택되었다. 이를 계기로 일본군'위안부'문제는 세계인들의 관심사로 바뀌기 시작했으며 이후 UN은 지속적으로 일본군'위안부'문제를 주목하며 일본정부의 문제 해결을 권고하고 있다. 1993년 비엔나 세계인권대회와 1995년 베이징 세계여성대회에서는 성노예 사례를 무력분쟁하의 여성폭력 범죄로 규정하고 책임자 처벌과 배상 등의 해결책을 제시했다. 한국노동조합총연맹과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의 연대에 힘입어 ILO(국제노동기구) 전문가위원회 역시 1997년부터 일본군성노예 문제를 강제노동금지조약 위반 사례로 판단, 해마다 일본정부에 문제 해결을 권고하고 있다.

국제기구의 권고
1992년 UN 인권위원회에 최초로 일본군'위안부'문제가 제기됨에 따라 1996년과 1998년 두 차례에 걸쳐 일본정부에 법적 책임 이행을 촉구하는 보고서가 채택되었다. 이를 계기로 일본군'위안부'문제는 세계인들의 관심사로 바뀌기 시작했으며 이후 UN은 지속적으로 일본군'위안부'문제를 주목하며 일본정부의 문제 해결을 권고하고 있다. 1993년 비엔나 세계인권대회와 1995년 베이징 세계여성대회에서는 성노예 사례를 무력분쟁하의 여성폭력 범죄로 규정하고 책임자 처벌과 배상 등의 해결책을 제시했다. 한국노동조합총연맹과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의 연대에 힘입어 ILO(국제노동기구) 전문가위원회 역시 1997년부터 일본군성노예 문제를 강제노동금지조약 위반 사례로 판단, 해마다 일본정부에 문제 해결을 권고하고 있다.

남북연대
1991년 '아시아의 평화와 여성의 역할'토론회를 시작으로 남과 북은 서로 오가며 만남을 가졌고, 일본과 UN 등 해외 각지에서 교류해왔다. 일본군'위안부' 문제 해결 운동은 남북 생존자들이 서로 얼싸 안는 만남의 장이자 민족적 성과를 일구어내는 통일의 공간이 되어 왔다.

남북연대
1991년 '아시아의 평화와 여성의 역할'토론회를 시작으로 남과 북은 서로 오가며 만남을 가졌고, 일본과 UN 등 해외 각지에서 교류해왔다. 일본군'위안부' 문제 해결 운동은 남북 생존자들이 서로 얼싸 안는 만남의 장이자 민족적 성과를 일구어내는 통일의 공간이 되어 왔다.

남북연대
1991년 '아시아의 평화와 여성의 역할'토론회를 시작으로 남과 북은 서로 오가며 만남을 가졌고, 일본과 UN 등 해외 각지에서 교류해왔다. 일본군'위안부' 문제 해결 운동은 남북 생존자들이 서로 얼싸 안는 만남의 장이자 민족적 성과를 일구어내는 통일의 공간이 되어 왔다.

아시아 연대
아시아 피해국들은 '아시아연대회의'를 바탕으로 국제사회에서 일본군'위안부'문제 해결을 위해 한마음으로 연대해왔다. 각국에서 연대집회와 공동캠페인을 벌이고 있으며, 일본의 양심 있는 시민들은 법정투쟁과 증언집회, 일본정부와 의회에 대한 로비 등 적극적인 활동을 전개해왔다.

세계 의회의 결의 채택
2007년 2월 15일 미국 하원에서는 세계의 이목을 끄는 청문회가 열려 한국과 호주의 피해자들이 일본군의 만행을 당당히 고발했다. 이로써 일본정부에 일본군'위안부'문제 해결을 촉구하는 결의(H.R. 121)가 미국 하원에서 만장일치로 통과되었다. 이것이 기폭제가 되어 같은 해 네덜란드, 캐나다, 유럽연합 의회가 잇따라 결의를 채택했고 피해국인 대만과 한국 국회도 결의를 채택했다. 이후 일본, 한국, 호주에서는 각지의 시민들이 풀뿌리 운동 속에서 지방 의회 결의 채택을 성사시켜 나가고 있다.
멈추지 않는 외침
아시아 피해국뿐만 아니라 독일, 미국, 캐나다, 호주 등 세계 각지에서 다양한 활동을 벌이고 있는 한인사회와 세계여성들의 노력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이를 통해 일본군'위안부'문제는 바로 '오늘, 우리 모두의 과제'로 인식되고 있으며, 나악 세계 곳곳의 무력갈등 속에서 지금도 계속되고 있는 여성폭력 범죄를 근절하기 위한 목소리로 널리 퍼져 나가고 있다.